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실재 윤리학에 대하여
    철학 담론 2023. 8. 14. 00:52

    실재 윤리학의 개요

    실재 윤리학(Realist Ethics)은 윤리학의 한 접근 방식으로, 독립적인 실재적인 도덕적 사실이 존재하며 이를 기반으로 윤리적 판단과 행동을 근거화하려는 이론입니다. 이 방식은 윤리적 가치와 의무가 객관적 현실에 기초한다고 봅니다. 실재 윤리학은 윤리적 참된 것을 실재적인 사실이나 세계적인 원리에 근거하여 찾으려는 노력을 포함하며, 윤리적 진리의 발견을 위한 탐구를 중시합니다. 이론은 도덕적 가치와 의무가 개인의 주관적 의견이나 문화적 상대성을 넘어선 무언가에 근거한다고 주장합니다.

    실재 윤리학의 주요 특징과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객관적 실재: 실재 윤리학은 도덕적인 진리와 가치가 개인의 주관적 의견이나 사회적 관습과는 별개의 객관적 실재로서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이론은 인간의 의견이나 감정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인 실재적 기반에 의해 윤리적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윤리적 사실: 실재 윤리학은 윤리적 사실이나 원리가 현실 세계에 존재한다고 보며, 이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도덕적 진리는 과학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탐구와 연구를 통해 발견될 수 있는 것이라고 봅니다.
    • 윤리적 사실의 인식: 실재 윤리학은 도덕적 사실이나 원리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는지에 관심을 둡니다. 이론은 윤리적 지식을 획득하고 해석하기 위해 논리적 추론, 관찰, 경험 등을 활용하려는 노력을 포함합니다.
    • 윤리적 의무와 가치: 실재 윤리학은 인간의 도덕적 의무와 가치가 객관적 실재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론은 도덕적 의무와 가치가 주관적인 감정이나 욕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으로 옳거나 그른 행동의 기준을 형성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 도덕적 판단과 이해: 실재 윤리학은 도덕적 판단과 이해를 위해 철학적인 논의와 탐구를 강조합니다. 이론은 어떻게하면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규정하고 이해하는지를 탐구하여 윤리학의 기초를 확립하려는 노력을 보였습니다.

    실재 윤리학은 도덕적 진리와 가치가 객관적 실재에 근거한다는 관점을 강조하며, 윤리적 판단을 주관적 의견이나 문화적 상대성을 넘어서는 무언가에 근거하려는 노력을 통해 도덕적 진리를 탐구하고자 합니다. 이론은 도덕적 선택과 행동을 지침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도덕적 삶을 실현하고 탐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실재 윤리학을 주장하고 발전시킨 대표적인 인물

    실재 윤리학을 주장하고 발전시킨 대표적인 인물로는 그라디 크레스웰 (G.E. Moore), 휴 르포트 (Hugh L. Lafollette), 그리고 R.M. 헤어 (R.M. Hare)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자의 철학적 관점과 시대적 배경에서 실재 윤리학을 탐구하고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 그라디 크레스웰 (G.E. Moore): 그라디 크레스웰은 영국의 윤리학자로, 19세기와 20세기 초에 활동하였습니다. 그는 실재 윤리학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로 여겨지며, "윤리적 사실은 자연적 사실이 아니라 객관적인 실재로서 존재한다"는 견해를 주장하였습니다. 크레스웰은 윤리적 판단은 사실적 기초에 근거해야 하며, "윤리적 논거"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윤리적 판단의 타당성을 강조하였습니다.
    • 휴 르포트 (Hugh L. Lafollette): 휴 르포트는 현대의 윤리학자로서 실재 윤리학과 관련한 다양한 이론을 제시하고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실재 윤리학적 명제"를 주장하여 윤리적 사실의 존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윤리적 판단의 타당성을 강조하였습니다. 르포트는 윤리적 선택과 의무가 객관적 기준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R.M. 헤어 (R.M. Hare): R.M. 헤어는 영국의 윤리학자로, "유니버설 프레스크립티비즘(Universal Prescriptivism)"이라는 이론을 제시하여 실재 윤리학의 개념을 확장하였습니다. 그는 윤리적 명제는 행동에 대한 지침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의무를 지시하는 경향을 가지며, 이를 통해 도덕적 판단의 일반적인 기준을 찾으려는 시도를 보였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철학자들이 실재 윤리학을 탐구하고 발전시켰으며, 이들은 각자의 시대와 관점에서 윤리적 진리의 기초와 의미를 탐구하였습니다.

    '철학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미니스트 윤리학에 대하여  (0) 2023.08.16
    실용주의 윤리학에 대하여  (0) 2023.08.15
    존재주의 윤리학에 대하여  (0) 2023.08.13
    윤리적 관계주의에 대하여  (0) 2023.08.12
    미덕윤리학에 대하여  (0) 2023.08.11
Designed by Tistory.